| ||||||||||
광고 클러터 현상 속에서 TV·신문 등 전통적 매체를 통한 광고의 영향력이 급감하는 가운데, 입소문은 소비자의 회피 행동 속에서 살아남고 불신의 벽을 뛰어 넘을 수 있는 강력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 2004년 한 컨설팅회사가 1만여 명의 영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구매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로 전통광고를 언급한 사람은 15%에 그친 반면, 입소문을 언급한 사람은 76%에 달했다. 또 여론조사기관 NOP에 따르면 미국인의 92%가 입소문을 선호하는 구매정보원이라고 응답했다. Euro RSCC는 제품에 대한 흥미를 발생시키는 데 있어서 입소문이 TV나 인쇄광고보다 10배나 더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또한 카츠(Katz)와 라자스펠드(Lazarsfeld)의 연구에 따르면 식품 및 가구 구매 시 입소문이 브랜드 전환에 미치는 효과는 라디오의 2배, 인적 판매의 4배, 신문이나 잡지광고의 7배가 된다고 한다.
미국의 입소문마케팅협회(WOMMA: Word of Mouth Mar-keting Association)는 입소문 마케팅을 ‘자연적인(Organic)’ 것과 ‘증폭된(Amplified)’ 것으로 구분하고 있다. 입소문 마케팅의 다양한 전략들 씨뿌리기(Seeding) : 씨뿌리기란 샘플링·투어링·데모 프로그램 등을 통해 다수의 사람들이 직접 제품을 경험하도록 하여 다른 사람들과 그 제품에 대해 대화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네트워크 허브들을 대상으로 한 씨뿌리기는 판매를 10~30%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제품 출시 전략이다. 마이크로소프트 사가 윈도95 출시를 앞두고 미국의 PC사용자 전체의 5%에 해당하는 네트워크 허브 45만 명에게 씨뿌리기를 한 것이 그 사례. 라이브 버즈 마케팅(Live buzz Marketing) : 입소문을 창출하기 위해 실제 이벤트나 공연을 이용하는 마케팅 기법. 영국 런던교통공사(TfL)의 사례가 대표적인 경우다. 영화가 시작되기 직전, 극장 안에 갑자기 불이 켜지고 영화관 매니저가 들어와 관객 중에서 맥너톤 부인을 찾고는 오토바이를 타고 극장으로 오던 남편이 교통사고를 당했다고 알린다. 놀라 실신한 부인을 밖으로 데리고 나간 다음, 매니저는 다른 관객들에게 가상의 상황이었음을 알리고 오토바이 사고의 위험성을 얘기한 후 런던교통공사의 광고를 보여준 것. 지난 2003년 영국에서 총 387회에 걸쳐 실시된 이 라이브 광고는 수만 명의 관객에게 전달되었을 뿐 아니라, 황금시간대 TV 뉴스를 비롯한 수많은 매체에서 다뤄지며 관심을 끌었다. PR 이벤트 : 독일의 콘돔회사 콘도미(Condomi)는 2002년부터 2003년까지 영국에 진출하면서 입소문을 내기 위한 PR 캠페인을 전개했다. 온라인상에서 남성의 ‘크기’를 추정하는 서비스를 제공한 것. ‘Size Him Up’이라는 이름의 재미있는 웹사이트에서 온라인 툴을 통해 손·발·코의 크기를 입력하면, 추정 ‘크기’를 알려주고 콘도미 제품 중 가장 적당한 제품을 추천해 주었다. 웹사이트는 전자 입소문을 통해 많은 네티즌들에게 알려졌는데, 특히 언론에 기사화되면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기사에서는 온라인 툴을 이용해 유명인들의 ‘크기’를 추정하고 재미있는 비교표를 싣기도 했다.
은밀한 시사회 : BMW는 새로운 모델 Z3를 출시하기 몇 달 전에 영화 <007 골든아이>에 PPL을 한 후, 영화 개봉 전에 회사 차원에서 단골 고객만 초청해 Z3가 등장하는 시사회를 열었다. 또 뉴욕의 센트럴파크에서 200여 명의 기자들을 초청해 시사회를 열기도 했다. 영화에서 본 거대한 상자가 무대 위에 놓이고, BMW의 CEO인 헬무트 판케(Panke) 회장이 비밀번호를 입력하자 상자가 열리면서 자동차가 나타났다. 동시에 제임스 본드 역의 피어스 브로스넌이 또 다른 Z3를 몰고 입장했다. 이렇게 개봉 전의 영화를 통해 출시를 앞둔 Z3를 본 4만 명의 선택된 사람들은 자신만 그것을 보았다는 자부심을 갖고 다른 사람들에게 열성적으로 이야기를 했다. 즉 정보를 제한적, 점진적으로 공개함으로써 입소문의 전파 속도를 높일 수 있었던 것이다. 도발적인 자극 : 1972년, 히치콕 감독은 자신의 영화 <프렌지>에 대한 입소문을 퍼뜨리기 위해 자신의 모형을 만들어 템즈강에 띄웠다. 이에 히치콕의 ‘시체’를 직접 보거나 그 사진을 언론에서 본 사람들은 그 이야기를 친구나 가족들에게 했다. 또한 데미 무어의 임신한 누드사진이 <베너티 페어>의 표지에 실렸을 때 많은 사람들이 그 이야기를 한 것도 하나의 사례. 이러한 도발적인 자극은 입소문을 증폭시킨다. 영웅 스토리 : 1964년에 포드에서 머스탱을 출시했는데, 그 주에 <뉴스위크>와 <타임>의 표지 모델로 등장했다. 표지에는 그 차만 실린 게 아니라 포드 사업부의 에너지 넘치는 젊은 사장인 아이아코카도 함께 실렸는데, <타임>에 실린 아이아코카의 사진은 그 차보다 다섯 배나 컸다. 또한 <뉴스위크>의 커버스토리는 아이아코카의 연봉과 대학시절의 학점 등 젊은 영웅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
유통 채널에 씨뿌리기 : 유통 채널을 통해 입소문을 만들기 위한 핵심 전략은 해당 네트워크 속의, 신뢰를 받는 판매자들에게 씨를 뿌리는 것이다. 1991년 초 크노프출판사는 조세핀 하트(Josephine Hart)의 첫 번째 소설 <데미지>의 프로모션을 위해 미국 전역의 서점에 있는 5,000명 가량의 관리자·점원, 그리고 구매자들에게 꾸러미를 보냈다. 그 꾸러미에는 소설의 특별 장정판과 출판사 사장이 보낸 메시지가 들어 있었다. 꾸러미를 받은 서점 직원들은 그 책을 고객들에게 적극적으로 권유했고, 얼마 되지 않아 그 책은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광고를 통해 입소문을 자극하기 : 좋은 광고는 사람들의 입소문을 자극할 수 있다. 입소문의 전파 범위나 속도에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므로, 광고를 통해 입소문의 전파를 촉진할 수 있다. 또 광고는 정보를 적극적으로 찾는 오피니언 리더들에게 전달되어 입소문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고객들이 제품을 안심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구매한 고객들에게는 자신의 구매결정을 정당화하도록 돕는다. 또한 사실을 제시하여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을 수 있다. 1980년, 미국의 사과 업계에 얼라(Alar) 농약을 친 사과를 먹으면 암에 걸릴 수 있다는 부정적인 입소문이 퍼졌는데, 업계는 광고를 통해 얼라 농약을 친 사과를 매일 2만 8,000파운드씩 70년 동안 먹어야 암에 걸릴 위험에 노출될 수 있음을 알렸다. |
출처 : LG AD webzine
'Design story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naero visual identity (0) | 2008.05.23 |
---|---|
컬러의 중요성 및 사용기 - Colorsite (2) | 2008.05.22 |
Strategy Study _ 입소문 마케팅 - ② Application & Management (1) | 2008.05.18 |
Genig 3D Visualisation (0) | 2008.05.18 |
W.E.B. 웹 (월간) 5월호 - 웹스미디어 (0) | 2008.05.07 |